
항암신약 개발의 미개척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연구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표적이 바로 CEACAM5입니다. 이 표적은 지금까지 성공 사례가 드물었던 만큼, 많은 연구자가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신약 개발의 미지의 영역입니다.
최근 리가켐바이오가 선보인 CEACAM5 ADC(항체-약물 결합체)는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고심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CEACAM5는 비소세포폐암(NSCLC)과 대장암(CRC) 등 다양한 암에서 높게 발현되지만, 과거 사노피의 임상 실패 사례로 인해 신약 개발이 쉽지 않은 표적이었습니다. 특히 혈중에서 발견되는 가용형(soluble) CEACAM5가 치료제의 전달을 방해하는 문제점은 난제로 남아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가켐바이오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차별화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존의 항체들과는 달리, 새로운 결정기(에피토프)를 활용해 가용형 CEACAM5와 덜 결합하면서도 암세포 내부로 더 효율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개발된 것이 핵심입니다. 이로 인해 정상세포에 미치는 독성은 낮추면서, 종양 세포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펩타이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성과는 비임상 시험에서도 입증되었습니다. 여러 세포주 및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에서 리가켐의 CEACAM5 ADC는 기존 경쟁 약물 대비 뛰어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안정성 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CEACAM5 ADC가 기존 치료법에 제한을 느꼈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리가켐바이오는 2027년 2분기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행보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CEACAM5 ADC는 아직 끝나지 않은 도전의 시작이며, 미개척 영역에 도전장을 내민 리가켐바이오의 연구개발 열정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항암 신약 개발의 미래를 열어가는 이 혁신은, 성공이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희망을 우리 모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CEACAM5 표적의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주목하고 기대해 볼 만한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다가오는 혁신, 리가켐바이오의 CEACAM5 ADC LCB58A
혈중 가용형 CEACAM5의 장애물도 돌파한 ‘LCB58A’. 이것이 바로 리가켐바이오가 미개척 영역에 도전장을 내민 혁신적인 CEACAM5 ADC 신약 후보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차별화된 항원결정기와 ‘ConjuAll’ 플랫폼이 만들어낸 이 획기적인 개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며, 임상시험 준비 현장의 생생한 모습도 함께 공개합니다.
CEACAM5 표적은 비소세포폐암(NSCLC)과 대장암(CRC)에서 높게 발현되지만, 기존 개발은 실패를 맛봤습니다. 그 이유는 혈중에서 발견되는 가용형 CEACAM5가 항체에 달라붙어 치료 효과를 방해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리가켐은 이 난제를 차별화된 항원결정기(에피토프)를 통해 극복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기존 투사미타맙과는 달리, ‘H81E6’ 항체는 가용형 CEACAM5와 덜 결합하면서도 암세포 내부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성질을 갖추게 된 것이 핵심입니다.
이와 더불어, 리가켐은 ‘ConjuAll’ 플랫폼을 활용하여 약물의 균질한 결합 비율(DAR)과 혈중 안정성을 확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강점은 비임상 시험에서 이미 입증되었는데, 여러 세포주와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에서 강력한 종양 억제 효과와 낮은 정상 세포 독성을 기록하며 희망적인 신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제 리가켐바이오는 2027년 2분기 미국 FDA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차근차근 준비 중입니다. 이 혁신적인 CEACAM5 ADC 개발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중요한 도전입니다. 차별화된 항원결정기와 첨단 플랫폼 기술이 만들어낼 미래가 기대됩니다.
혈중 가용형 CEACAM5의 장애물도 넘고 있는 ‘LCB58A’. 미개척 영역에 당당히 도전장을 내민 리가켐바이오의 이 획기적인 연구 과정은, 암 치료의 새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Reference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08080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