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일본 기업의 99.9%가 정년을 65세로 연장했을까요? 25년에 걸친 정부와 기업의 노력, 그리고 12년의 유예 기간이 만든 큰 그림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일본이 ‘정년 65세’ 안착에 성공한 비밀은 바로 치밀하게 설계된 12년에 걸친 준비 과정에 있습니다. 일본 기업들이 25년 전부터 고령화와 인구 감소를 걱정하며 시작한 이 여정은, 단순히 법적 정년 연장을 넘어서 기업 문화와 연금 제도, 그리고 고용 유지 방식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전략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들은 먼저 정년 연장에 대한 ‘노력 의무’를 천천히 늘려가며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1986년 법 개정 이후 1998년 정년 60세 의무화, 그리고 2000년 ‘고연령자고용안정법’으로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한 것인데요. 이후에도 기업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계속고용,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중 선택권을 부여하며 자연스러운 변화가 가능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것은 바로 ‘12년의 유예 기간’입니다. 정년 연장 정책이 도입될 때마다 기업은 충분한 시간 동안 변화에 적응할 수 있었고, 이는 결국 전체의 99.9%가 세 가지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택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일본 정부는 연금 수급 시기와 연장 정책을 연계하며, 고령 근로자의 안정된 일자리 유지와 노후 보장을 병행하는 전략을 통해 국민의 수용도를 높였습니다.
이처럼 일본이 ‘정년 65세’ 정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치열하게 준비한 12년의 기간은, 기술과 노하우를 오래 활용하며 생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결국 이 긴 여정이 일본 기업의 85% 이상이 선택한 ‘정년 65세’ 정책의 토대를 마련했고, 오늘날 고령화 society에서도 선도적인 노사 협력 모델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죠.
이 사례는 우리에게도 많은 교훈을 줍니다. 급속한 변화보다, 충분한 준비와 유예 기간을 두는 것이 더 큰 성공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요. 앞으로 한국 사회 역시 고령화 대응을 위해 이러한 전략적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정년 연장이 가져온 변화와 미래의 도전: ‘정년 65세’ 안착시킨 12년 큰 그림…일본 기업 85%가 택한 정책은?
일본은 최근 12년에 걸친 정년 제도 개혁의 큰 그림을 완성하며 ‘정년 65세’ 안착에 성공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기업의 무려 85%가 정년 연장 또는 계속 고용 방식을 선택하며, 전통적인 정년 기준을 넘어선 노사 협력의 모범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일본은 21년 연속 고령 취업자 수가 늘어나며 또 다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죠. 현재 930만 명이 넘는 고령자들이 활발히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중 상당수는 70세까지 일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본의 사례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고령 인구의 노동력 활용 전략이 얼마나 국가 경쟁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 속에서도 일본은 오랜 기간 일관된 정책 설계와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정년 65세’ 정책을 체계적으로 정착시킨 것이죠. 이러한 연장 정책은 노동력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역시 고령화 속도와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처럼 명확한 ‘정년 65세’ 안착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 사례에서 배우는 핵심는 바로 근로자 중심의 지속가능한 정책 설계와, 기업이 부담을 분산하면서도 동시에 노사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12년의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정책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현실로 만든 일본의 경험은, 앞으로의 우리 정책에도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입니다.
Reference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world/11465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