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얼마나 막대한지 알고 계신가요? 미국에서는 매년 1400조 원에 달하는 비용이 치매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단순한 건강 문제를 넘어 가족과 기업까지도 심각한 고통을 안기고 있습니다.
이 비용에는 의료비, 노동력 손실, 그리고 가족 돌봄 비용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가족들이 자발적으로 감당하는 비공식 돌봄 비용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치매는 환자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의 경제적 부담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등 여러 나라에서 치매 환자의 수가 급증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에 육박하는 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이 문제의 심각성을 실감케 합니다.
이러한 막대한 비용의 뿌리는 바로 치매라는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과 돌봄 부담의 무거움에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조기 진단과 돌봄 환경 개선, 그리고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이라고 말합니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거대한 사회적 부담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을까요? 앞으로 더 많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우리 모두의 관심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치매의 사회적 비용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가족과 기업, 그리고 사회 전체가 짊어지고 있는 무거운 짐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늘어나는 치매 환자와 변화하는 사회, 한국과 아시아의 과제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치매’라는 용어마저 바꾸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에서, 명칭 변경은 단순한 표현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인식과 정책, 돌봄 체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연간 1400조원에 달하며, 가족과 기업들까지 막대한 고통 속에 놓여 있다.
이처럼 치매 환자가 늘어나면서 치료와 돌봄이 지속적으로 필요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국가가 돌봄 인력 부족과 비용 부담에 직면해 있다.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도 치매 환자 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나며,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치매 환자가 2022년 440만 명에서 2050년에는 58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한 경제 손실도 수십조 엔에 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치매’라는 용어의 변화는 의미가 크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이고 조기 진단과 치료,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치매’를 ‘인지저하증’이나 ‘뇌 인지저하증’ 등 가치 중립적인 용어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한국에서도 관련 법률안이 발의되어 있으며, 정부 역시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 위해 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용어 변화는 단순한 이름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인식 개선과 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물론, 가족과 기업이 겪는 고통을 덜어내기 위해서도, 지금이 바로 근본적인 변화의 시점임을 보여준다. 앞으로 한국과 아시아 각국은 치매에 대한 이해와 지원 체계 강화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안고 있다.
Reference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world/11425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