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가 미국을 분노케 했을까요? 세계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이 작은 광물의 힘을 파헤쳐 봅니다.
최근 중국이 “미국 고집부리면 상응조치”라는 엄포와 함께 희토류 수출통제 조치를 강화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의 판이 또 한 번 흔들리고 있습니다. 희토류는 첨단기술과 군사력의 핵심 자원으로, 작은 광물이지만 그 영향력은 결코 미미하지 않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가장 민감하게 여기는 안보·기술 분야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되며, 세계 경제의 숨어있는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차단하거나 규제 범위를 확대하면서 미국의 반도체, 첨단 기술 산업은 물론 농산물 시장까지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희토류는 미국이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하는 만큼, 이번 통제 강화는 양국 간 싸움이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안보·패권 경쟁으로 확전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미국은 이에 맞서 11월 1일부터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강경 대응을 선언했고, 세계는 또다시 ‘고래싸움’ 속 희토류라는 작은 자원이 큰 파장을 일으키는 현장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희토류는 미국·중국 모두에게 최대 약점으로 인식돼 왔습니다. 미국은 중국·브라질에서 희토류를 수입했지만, 이번 중국의 조치로 공급이 급격히 위협받았고, 미국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는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반면, 중국은 이 자원을 무기로 미국에 압박을 가하며, 희토류를 군사·민간 전 분야에서 강력한 무기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은 광물 하나가 세계 경제의 민감한 균형을 흔들고 있는 지금, 희토류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글로벌 가치를 다시 한 번 조명하는 핵심 키워드가 되고 있습니다. 과연 이 전쟁의 끝은 어디일지, 지금의 긴장감은 얼마나 지속될지, 우리 모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2. 무역 갈등의 다음 우회로, 대두 그리고 관세의 치킨게임
중국이 ‘미국 고집부리면 상응조치’라는 강경 입장을 내세우며 다시 한번 무역 분쟁의 불씨를 지폈습니다. 특히 최근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로 미국의 안보와 경제에 타격을 가했던 중국이 이번에는 미국 농가의 핵심 수출품인 대두(콩)에 대해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의 전선을 대두와 관세 치킨게임으로 확장하는 모양새입니다.
중국은 지난 5월부터 미국산 대두 주문을 전면 중단하며, 대표적인 미국 농산물 수입국인 중국 시장의 압박 수단을 가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무역 갈등의 차원을 넘어, 농가 피해와 상품 가격 급락이라는 직격탄까지 야기하며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실제로, 블룸버그는 중국이 미국산 대두 구매를 1999년 이후 처음 전면 중단했다고 전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 농가의 타격은 불가피해졌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과 중국은 각각 세게적인 무역 수단을 통해 서로를 압박하는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국은 미국 선박에 ‘특별 항만 서비스료’를 부과하며 보복 조치를 강화했고, 미국은 반도체 기업 인수 제약과 함께 14일부로 100%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희토류에 이어 대두와 같은 농산물, 그리고 첨단 반도체까지 넘나들며 두 강대국 간의 긴장감을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
중국 “미국 고집부리면 상응조치” 엄포는 이미 여러 차례 입증된 바 있는데, 이번에도 희토류와 대두를 통해 강력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의 배경에는 무역 분쟁이렇게 단순한 경제적 논리만이 아니라, 지정학적 영향력 확장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앞으로 남은 일주일은 미국과 중국이 어떤 협상 기회를 잡을지, 그 실마리를 찾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11월 1일 예정된 미국의 100% 추가관세 시행이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그리고 양국 간의 정상회담에서 어떤 해법이 도출될지 전 세계가 긴장하며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두와 관세, 희토류를 둘러싼 미중 간의 ‘치킨게임’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글로벌 경제 전체를 흔드는 중요한 전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이번 무역 갈등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Reference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world/11439511